top of page

Grapictures

류지연(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Jienne Liu, Curator,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오택관은 오랫동안 실재를 반영한 가상의 공간을 2차원의 화면으로 표현하는 작업을 보여왔다. 작가는 실재란 우리가 살고 있고 점유하고 있는 유형의 공간이자 우리가 사고, 생산,발산, 흡수하는 수많은 정보들로 찬 무형의 공간이라고 간주한다. 작가가 바라본 실재는 그 자체의 구조와 체계를 지니고 있는 존재이지만 거기에는 인간경험의 흔적, 다양한 이미지와 텍스트, 그러한 것들로 이루어진 미래지향적인 방향성까지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이렇듯 자신이 속하고 있는 유무형의 공간이긴 하지만 작가는 거기에서 자신을 분리시켜 다시 한 번 생각해보고자 하였다. 작가는 이를 지도의 형식을 빌어 화면을 표현해 왔다. 그에게 지도란 현 시대, 사회, 체제를 바라보고, 반영하는 시각의 표출이자 현실과 비현실이 맞닿은 지점이다. 하늘에서 내려다 본 조감도의 느낌으로 수직선과 수평선이 서로 그리드를 이루며 교차하는 가운데 그래픽 디자인처럼 매끈한 화면분할과 얼룩 같은 작가의 붓질은 겹겹의 층을 이루고 있다. 세심하게 재단된 패턴은 밀도 있는 원색으로 처리되고 그 사이 수차례 겹쳐 그려낸 반투명한 색채는 화면에 울림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러한 층의 겹침은 단순히 도형의 조형적인 요소와 구성적인 면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해 지도라는 가상의 매개체가 보여주고 있는 시간과 공간, 텍스트와 이미지, 전체와 개체 등 여러 가지 존재가 축적된 결과인 것이다.


그리하여 작가는 객관적인 정보만 남아있거나 과거회귀적인 시각을 반영한 화면이 아니라 주관과 객관이 공존하고 에너지가 살아있는 무한의 화면을 만들어내었다. 그래픽적인 요소와 제스츄어적인 붓질의 혼재는 어울리지 않는 충돌을 일으키기보다는 서로 상생하여 자신만의 고유한 화법이 되었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작품이 단순히 프레임 안에서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전시될 공간에 맞게 설치적 요소가 가미되어 제시됨으로써 더욱더 생동감이 넘치는 화면을 탄생하게 하였다. 작가가 작품을 제작하는데 앞서 작품이 전시될 공간을 먼저 살펴보고 그에 맞는 크기, 색감, 전체적인 분위기를 정한다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비록 작품이 장소특정적인 경향을 띄고 있다고 하더라도 다른 장소에서 작품으로서의 생명력을 잃어버린다는 의미는 아니다. 그는 자신의 생각을 외부로 전달하는데 있어 무조건적으로 분출하기 보다는 자신의 작품이 보다 조형적으로 완성된 형태로 보여지기를 원하며 또한 외부세계에 대한 자신의 생각이 효과적으로 전달되기를 바란다. 

이렇듯 이전 작업이 외부세계에 대한 작가적 시선이 담겨있다고 한다면 ‘Grapictures'시리즈는 그러한 작업의 연장선상임과 동시에 조금 다른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Grapictures'은 그래픽과 픽쳐라는 단어의 조합으로서 작가가 지속적으로 추구했던 그리드, 그래픽, 텍스트의 조화를 더욱더 강조하고 있다. 같은 현상일지라도 말하는 이와 듣는 이가 서로 다른 이야기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전제 하에 작가는 자신만의 해석과 이야기를 다양한 방법으로 풀어놓는다. 작가는 서로 다른 해석이 생산되는 것을 마다하지 않고 더욱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있다.      

For a long while, Oh Taec Kwan has shown works in which virtual spaces that are reflective of the real are materialized in the form of two-dimensionality. Oh understands the real both as a material and tangible space that we live and occupy and as a formless and impalpable one that is inundated with innumerable quantities of information, which we think, produce, emanate and absorb. What is real seen by Oh is of its own structure and system and yet it contains the vestiges of human experiences, a variety of images and texts and a future-oriented appetence, which is affectuated by them. Hence, the real is a space of concreteness and immateriality to which he belongs, but Oh attempts to reconsider it by separating himself from it. Oh has embodied this theme by employing the form of a map. To him, a map is a visual manifestation which looks into and reflects the present time, society and system and simultaneously an intersection at which the real and the unreal run into each other. In his work which uses a bird’s eye view,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cut across so as to form grids, and in the middle of them is multilayered orchestration of graphic design-like streamlined compositional division and his spot-like brushwork. The carefully cut patterns utilize intense bright colors, and the spaces in-between them are imbued with translucent colors bred by multiple applications of pigment. And the contrast between them allows the picture planes to rhythmically oscillate. This multilayeredness characterizes not merely the formal and compositional aspects of patterns. That is to say, it is caused by the accumulation of diverse entities that the virtual medium of a map evinces: time and space; text and image; the whole and the individual.   


The artistic outcome of Oh’s, thus, results not in a picture plane that is left with objective information or mirrors a point of view directed towards the past but in one that the subjective and the objective coextist and energy vitalizes itself. The interlarding of graphic elements and gestural brushwork nourish each other to be formulated as Oh’s own inimitable artistic language rather than producing diaphonic collisions and conflicts. Furthermore, this animating mode contributes to the pulsation of the picture plane as it is aided by the element of installation that allows his work to respond to the space where it is to be placed without simply residing within a frame. It is highly thought-provoking that Oh observes the space in which his work is to be displayed before its production in order to correspond it with the overall character of the works including dimensions and color schemes. The site-specificity of his work does not, however, nullify its life force as a work of art. In delivering his own ideas to the external world, Oh is reluctant to cascade them. Rather he wants for his work to be shown in a more complete and mature condition in terms of formativeness. For he believes such maturity is necessary for it to be effectively conveyed to the outside world. 
When it can be said that Oh’s previous work realizes his own distinctive perspective towards the world as examined so far, his ‘Grapictures’ series is in the continuum of such previous work of his and at the same time betrays a different tendency . The title consists of a term coined by Oh by combining the two words of ‘graphic’ and ‘picture,’ and his Grapictures attaches much more emphasis to the harmonic orchestration of such elements to which he has continuously directed his creative attention as grid, graphic and text. On the premise that a single phenomenon can be perceived and understood differently by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Oh unfolds his own interpretations and narratives in manifold ways. Oh does not hesitate to witness the formation of disparate interpretations. All the more, he actively encourages it.

가장 큰 변화는 작가가 관심을 두고 있는 대상이 거대한 조직, 사회 전체가 아니라 그러한 세계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인물이거나 그러한 외부세계로부터 영향을 받은 자신의 감정을 즉흥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이라는 점이다. 이전 작업이 세계를 이루는 시간과 공간의 층에 대한 바깥으로 향한 시선이었다면 이제 그러한 세계를 이루어가는 연결고리이자 시선의 출발점으로서 인간에 주목하고 있다. 그리하여 다산 정약용과 같은 특정한 인물을 설정하여 그에 대한 인상, 업적 등에 영감을 받아 화면으로 옮긴다거나 자신의 감정을 즉흥적으로 표현하는 시도를 하는 등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작업이 전개되고 있다. 첫 번째로 인물에 대한 재발견을 살펴보자. 흔히 인물의 표현이라고 한다면 그 사람의 외모, 인상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초상화의 형식을 취하게 마련이다. 하지만 작가는 이제껏 초상화를 통해 보이지 않았던 인물에 대한 간접적인 요소를 포함해서 보여주고자 한다. 인물이 살아있거나 작가가 그 인물이 아닌 이상 인물 역시 허상의 이미지로 존재할 수 밖에 없다. 작가는 그러한 점을 간파하여 인물 역시 텍스트의 원형으로서 다루게 되는 것이다.


두 번째 작가의 감정표현에 있어서는 보다 회화적인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 작가는 현실과 비현실이 뒤집힌 상황 속에서 작가 본인의 감정과 생각을 무엇보다 중요한 주제로 삼고자 한다. 그러므로 텍스트 본연의 의미, 물질감, 형태적인 요소, 나아가 회화적인 표현에 집중하게 되었다. 따라서 잘게 나누어졌던 화면 분할과 패턴은 사라지고 면, 선, 도형, 그리고 작가의 붓질이 보다 크고 분명하게 구분되어 나타나게 되었다. 이전 작업의 바탕에 깔린 잔 붓질이 이제는 보다 확대되고 전면에 등장하게 된다. 또한 기호를 의미하는 도형 역시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변화하였다. 
이렇듯 ‘Grapictures' 시리즈는 이전작업에서 보여주었던 대립적인 구도, 유희적인 요소의 울림, 미묘하게 통제된 화면이 점차 안정되어 회화의 평면성으로 향해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전시는 변화무쌍한 세계를 향해 쫓아가는 시선이거나 에너지를 외부로 촉발시키는 화면이 아니라 외부세계에 동요되지 않고서 작가자신의 내부를 들여다보고 확인하는 작가적 태도의 전환이 잘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작업세계에 새로운 전환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What is most discernible in the transformation of his art is that the object of Oh’s attention is not a gigantic organization or society as a whole but a historical figure that has had an impact on such worlds or an improvisational way to render his emotions caused and influenced by such external worlds. Whereas his previous work was of his outward gaze at the layers of time and space comprising the world, now he is attentive to the human being as the linkage that holds the world together and as the agent of the perspective. This has determined the two different directions of his recent work: He selects a specific historical figure such as Jeong Yak Yong whose penname was Dasan and transfers his impressions of and inspiration by the figure onto the picture plane; he expresses his emotions in impromptu. First let us look into his rediscovery of historical figures. A typical way to portray a figure takes the form of portraiture, which results from the artist’s inspirations incurred by the figure’s appearances and facial expressions. Yet Oh’s intention gives weight to the inclusion of the indirect elements of a figure that have not brought to light by his or her portrait. Unless the particular figure is still alive or is the artist himself, the figure exists only in the form of a fictitious image. Oh’s insight into this aspect has led him to regard a figure as the origin of text.


Another change is detected in his attitude towards depicting emotions: the element of painterliness is more emphasized.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the real and the unreal are reversed, Oh intends to take his own emotions and thoughts as his primary subject matters. This has resulted in his concentration on the original meaning of texts, materiality, formal elements and further painterliness. The factors of compositional fragmentation and pattern have been abandoned. Instead, planes, lines, geometric forms and brushwork are increased in size and enunciated and articulated in terms of clarity. The tiny and delicate brushwork applied to the ground of his previous works is not transformed into a more extensive one in the foreground. In addition, geometric forms as signs are now replaced by diverse forms and sizes.

As observed so far, the “Grapictures’ series exemplifies that his art is leaning towards the two-dimensionality of painting as a gradual stability is imbued in his previous works that can be characterized by its antagonistic composition, the reverberation of playful elements and obscurely controlled picture planes. In the respect that this exhibition persuasively reveals the shift in Oh’s artistic attitude from the gaze chasing after the ever-changing world and the outward explosion of energy to his introspection and confirmation of his own inner mind without being subject to the disturbances of the external world, a new and novel transition is safely and welcomingly anticipated in the art of Oh Taeck Kwan.

bottom of page